본문 바로가기

시장/참고자료

사고나 노후 대비 금융자산 관리 방법 노후나 불의의 사고를 대비하여 은행에 저축해둔 자산이 경우에 따라 필요한때 활용 할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 말이죠.1.문제상황: 기존 은행 계좌는 질병이나 사고로 인해 무능력해질 경우 접근이 어렵습니다. 사망 시 계좌가 동결되어 자금 접근이 오래 걸리고 복잡합니다. 1년 동안 거래가 없는 계좌는 휴면 계좌로 분류되어 자금 회수가 어렵습니다.사례 1: 어머니가 치매 진단을 받아 은행 계좌에 있는 돈에 접근하지 못해 치료비를 지불할 수 없었습니다. * 사례 2: 김영수 씨는 2억 원의 예금이 있었지만, 의식불명 상태여서 가족이 의료비로 접근할 수 없었습니다. * 사례 3: 박정희 씨는 남편이 사망한 후 3억 원의 예금을 인출하려 했지만, 해외에 있는 자녀의 동의가 필요.. 더보기
은행별 스피드 계좌조회(간편계좌조회) 빠른조회(간편계좌조회) 서비스 란? 인증서 로그인 없이 뱅킹 ID또는 조회전용ID를 통해 계좌거래내역과 잔액을 빠르고 간편하게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로 이 계좌등록 한번으로 회사에서 장부를 기장하고 계신 직원분들 또는 세무대리인에게 쉽고 빠르게 통장내역을 공유할수 있습니다. ​ 통장내역 간편조회 인증을 위해서는 먼저 해당 은행 홈페이지에서 간편조회서비스에 가입하고(은행마다 편리한 조회, 빠른 조회 등 이름이 조금씩 다를 수 있어요) 등록하려는 통장을 간편조회대상 계좌로 등록한 후 조회하고자 하는 사용자(직원 또는 기장대리인) - 간편조회 ID & PW , 통장비번등이 필요합니다. 통장 간편계좌조회 등록은 사전절차로 번거로울 수 있으나, 권한을 "조회"로 한정해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함입니다. 빠른조회(간편.. 더보기
한국, 미국 기준금리 동향 확인하기 과거 미국과 한국의 금리차이 발생시점의 부동산시장 상황을 알고 싶어 찾아보다가 미국과 한국의 기준금리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게 되어 관련 사이트를 공유 드립니다. 1. 미국 기준금리 1) FRED(Federal Reserve Econimic Data) [바로가기] Fed가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긴 기간의 금리를 확인할 수 있지만, 가장 최신월의 업데이트는 1개월 가량 다소 늦는 듯. 다른지표와 비교 기능 등이 있지만 원본 데이터 무료 다운로드는 불가 한듯 합니다. FRED에서 확인하는 미국 기준금리 2. 한국 기준금리 1) 한국은행 [바로가기] 그래프의 점에 마우스를 오버하시면, 금리 변경일자와 기준금리를 확인 가능. 참고로 2008년 2월 까지는 콜금리 목표라서, 정확한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2008년 .. 더보기
은행파산 및 연체율증가 등 금리인상으로 드러나는 위험신호 들 펜데믹시 찍어낸 현금유동성으로 불어난 자산버블.. 인플레를 금리 인상으로 잡기에는 각국에 숨어 있는 부실이 너무도 많아 ... 0. 연준 빅스텝 시사에 역대 최대 한미 금리차 우려 - 3월 빅스텝시 한미 금리차 1.75% 예상 - 달러유출, 경상수지 악화 등 우려 - 한은 기준금리 인상 불가피 예상 https://youtu.be/AgQTrNr1_x8 1. 미국 SVB 및 시그니처은행 파산 파급효과 - 금리급등으로 폭락한 장기국채 비중 높아 SVB 예금주 인출러시에 파산 - 채권비중 높은 타 금융기관도 우려 - 3월 연준 자이언트 스텝 보류 할 듯 (빅스텝 아닌 +0.25% 베이비스텝 가능성 증가) https://youtu.be/Eskm9YlHBk4 2. 국내 금리부담으로 가계/기업 대출 연체율 급증 - .. 더보기